2011. 5. 11. 03:25

MB-메르켈, 원전 놓고 '심각한 이견' 노출 - 뷰스앤뉴스




출처 :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75176
 

MB-메르켈, 원전 놓고 '심각한 이견' 노출

MB "한국에선 원전 불가피" vs 메르켈 "안전이 중요한 자원"
2011-05-10 07:44:52
 
이명박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9일 원전정책을 놓고 심각한 이견을 노출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날 베를린 총리실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회담 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원전정책과 관련, "신재생 에너지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동의했고, 한국과 독일이 협력 프로젝트를 할 수 있다"며 "안전이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고 '안전'에 방점을 찍었다.

메르켈 총리는 이어 "한국의 경우 엄격한 안전기준 심사를 하는 것으로 안다"면서도 "일본 원전사태에 따른 교훈을 실행할 것이라고 한다"며 '후쿠시마 교훈'에 방점을 찍기도 했다.

메르켈 총리 발언은 원전은 결코 신재생 에너지 산업이 아님을 분명히 하면서 원전은 신중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는 의미인 셈. 실제로 메르켈 총리는 후쿠시마 사태후 독일내 17개 원전 가운데 1980년 이전에 건설된 7개의 가동을 즉각 중단하고, 궁극적으론 17개 원전 모두를 폐쇄하기로 한 상태다.

메르켈 총리는 집권후 원전 정책에 대해 갈팡질팡하다가 후쿠시마 사태가 터진 직후인 지난 3월27일 치러진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회 선거에서 녹색당의 돌풍 속에 기민당이 58년 만에 처음으로 정권을 내놓는 쓰라린 정치적 타격을 입은 바 있다.

반면에 이 대통령은 일본 대지진후 한국의 원전 정책에 변화가 있냐는 독일기자 질문에 "원전문제는 독일에서 말하는 게 조심스럽다"며 독일내 험악한 반원전 분위기를 의식한 뒤, "독일의 원전정책과 한국의 원전정책이 다르고 원자력 산업은 국가별 입장이 다를 수 밖에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은 100%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석유에 의존해서 만일 경제가 돼 있다면 그것도 안보상으로 불안할 수 있다"며 "한국은 안보적 측면에서 원자력 발전소 21기를 가동 중이고 7기가 건설 중에 있다"며 원전을 계속 건설해 나갈 것임을 분명히 했다.

이 대통령은 더 나아가 "일본과 우리는 지질적으로 여건이 다르다. 우리는 일본에 비해 후발업체여서 안전기준이 훨씬 강화가 돼 있다"며 "그동안 원전운영 실태를 보면 세계에서 가장 경미한 사고율이고 가장 사고가 없는 발전소"라며 한국 원전이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다고 주장했다.

이 대통령은 또 "신재생 에너지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세계가 함께 해야 하는 과제이긴 하다"면서도 "원전산업 발전은 한국에서 불가피하고 세계 많은 나라가 그렇게 생각하지 않겠나 싶다"며 원전의 불가피성을 거듭 강조했다.

이 대통령이 이렇게 원전의 불가피성을 강조하고 있는 시점에 총리관저 밖에서는 독일교포들과 독일환경단체 등이 이 대통령에게 원전 신설과 4대강사업의 즉각 중단을 촉구하는 피켓 시위를 벌이고 있었다.

이영섭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