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jsapark.tistory.com/1526
* 끝 부분만 퍼왔습니다. 직접 이동하셔서 읽으시기 바랍니다.
정의란 무엇인가, 100만부 돌파 진짜 이유?
2011-04-19 08:37:30 탐진강
내용
외국인이 쓴 철학적 인문서가 밀리언셀러 돌파한 것은 놀라운 일
정의란 무엇인가 질문이 한국사회를 강타한 3가지 이유
자승자박이 된 '공정사회와 친서민', 탐욕과 특권의 기득권 현실
(전략)
.......
정의는 곧 시대정신이었던 것이지요. 그런데 결정적으로 '정의란 무엇인가'에 불을 붙인 것은 바로 이명박 대통령이었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공정사회와 친서민'을 정책기조로 삼겠다고 한 것이지요. 국민들은 황당했습니다. 부패하고 불공정한 정권이 공정사회를 부르짖고 친재벌 부자 권력자가 친서민을 외치는 어이없는 현실에 냉소가 흘러나왔습니다. 그것은 정의란 무엇인가 근본적인 질문을 폭발적으로 증폭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하버드대 정치철학자가 쓴 책 '정의란 무엇인가'는 불공정한 한국 사회와 만나면서 엄청난 폭발작용을 한 것입니다. 그것은 정의로운 국가사회를 바라는 국민들의 열망이었습니다. 장하준 교수의 책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가 베스트셀러가 된 것도 마찬가지로 경제 정의에 대한 열망이 녹아있었지요. 결국 우리나라는 현재 정치 경제 사회에 대한 정의가 가장 필요한 시대적 열망이 자리잡고 있는 셈입니다. 이는 부도덕하고 불공정한 게임을 하는 자들이 아니라 새로운 정의의 기사를 바라는 심정이겠지요.
우리는 어렸을 때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라'는 가르침을 받고 살아왔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아가는 대다수 국민들의 상실감만 큰 세상이 되었습니다. 정의가 승리하지 못하고 매번 불의가 승리를 했습니다. 편법, 탈법, 불법을 포함한 반칙과 특권이 판치는 나라가 되었습니다. 무전유죄의 불공정한 판결에 눈물을 흘려야 했습니다. 정직하고 성실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행복한 세상, 정의가 불의를 이기는 나라, 윤리의식과 도덕성이 높은 사람이 존경받는 사회. 그것은 2011년 우리 국민들의 시대적 열망인 것입니다. '정의란 무엇인가'에 대해 해답은 바로 우리나라 국민들 마음 속에 있었던 셈입니다. 그렇다면 우리 국민들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